스케줄링 성능 평가 기준
- 평균 대기 시간 = 각 프로세스들이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준비 큐에서 기다리는 시간의 합들의 평균 값
- 평균 반환 시간 = 각 프로세스들이 생성된 시점부터 수행이 완료된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들의 평균 값
선점 = 우선순위가 더 높은 프로세스가 CPU를 빼앗아 사용 가능
비선점 = 한 번 CPU를 할당 받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아 사용할 수 없음
1. First-Come First-Served 스케줄링
- 비선점 스케줄링 알고리즘
- 준비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디스패치
- 장점
-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기법
- 단점
- 짧은 프로세스가 긴 프로세스를 기다리거나, 중요한 프로세스가 나중에 수행될 수 있음 -> 대화식 운영체제에는 부적합
- 프로세스들의 도착 순서에 따라 평균 반환 시간이 크게 변함
2. 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
- 비선점
- 준비 큐에서 기다리는 프로세스 중 실행 시간이 가장 짧다고 예상된 것을 먼저 디스패치
- 장점
- 일괄처리 환경에서 구현하기 쉬움
- 단점
- 실행 예정 시간 길이를 사용자의 추정치에 의존 -> 실제로는 먼저 처리할 작업의 CPU 시간을 예상할 수 없음 -> 대화식 운영체제에는 부적합
3. 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
4. Round Robin 스케줄링
5. Highest Response Ratio Next 스케줄링
'computer science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세스 관리] 교착상태 (0) | 2022.06.17 |
---|---|
[프로세스 관리] 병행 프로세스 (0) | 2022.06.17 |
[프로세스 관리] 프로세스 개요 (0) | 2022.06.17 |
운영체제 소개 (0) | 2022.05.19 |
시스템 소프트웨어 vs 응용 소프트웨어 (0) | 2021.10.12 |